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아, 2030년까지 매출 1조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LG전자의 평택 디지털파크에 위치한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센터(BIC)’는 다양한 B2B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는 거점으로, 전기차 충전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IT 기기, 의료용 모니터 등 다양한 상업용 제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LG전자는 최근 실차시험소를 새롭게 구축하여 전기차 충전기의 안전성을 직접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국내외 전기차 충전기를 실제 차량에 연결하여 화재 안정성, 전압 변환 안정성 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실제 차량을 구매해 충전 테스트를 진행하며, 화재 발생 시 배터리를 침수할 수 있는 설비를 통해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실험 환경을 통해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며, 내화 재질의 건물 설계와 전원 변환 장치를 통해 과전압 상황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LG전자는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사업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북미, 유럽, 한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북미 시장에서는 350kW 초급속 충전기 생산을 시작으로, 유럽에서는 7kW 및 30kW 급 완속 충전기를 출시하며 다양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스위스의 ABB와 같은 글로벌 경쟁사와 경쟁하기 위해 제품 라인업과 품질, 신뢰성 측면에서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인 수요 정체 현상(캐즘)은 LG전자에게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후발주자인 만큼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LG전자는 북미 1위 전기차 충전 사업자인 차지포인트와 협력하여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으며, 올해 초 미국 텍사스에 충전기 생산 거점을 구축하며 북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기 안전 기술 및 글로벌 시장 확장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와 같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급속 충전 시에는 80%, 완속 충전 시에는 100% 충전 시 차량 배터리에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충전 제어 시스템’을 도입해 과충전 방지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이러한 안전 솔루션과 함께 다양한 충전기 라인업을 통해 북미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미국 급속 충전기 시장 점유율 8%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과 한국 시장에서도 현지 환경에 맞는 다양한 충전기 제품을 출시하며 글로벌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LG전자의 B2B 사업 확장 전략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매출 1조 원 달성뿐만 아니라, B2B 사업본부의 전체 매출을 10조 원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기존의 호텔, 병원 TV, 사이니지 및 프리미엄 노트북 등 캐시카우 사업을 강화하며, 의료용 모니터와 전기차 충전기와 같은 신성장 동력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향후 LG전자는 이러한 다양한 B2B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를 포함한 B2B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며, 미래 전기차 충전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그룹의 강력한 조직 개편: 2024년 조기 임원 인사와 계열사 구조조정의 의미 (2) | 2024.10.18 |
---|---|
한국은행 금리 인하의 영향과 전망 (5) | 2024.10.12 |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공급망 글로벌화와 성공 전략 (0) | 2024.10.10 |
전기차 배터리의 미래: LG에너지솔루션의 혁신과 시장 확대 전략 (7) | 2024.10.09 |
대출 연체율 급등, 취약계층의 고통 심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의 위험성 (5) | 2024.10.01 |